본문 바로가기
매일 심리학 공부

욕구계층이론

by 파블러 2019. 11. 4.

 여러분이 원하시는 것은 무엇인가요?
 맛있는 음식이 생각나시나요, 아름다운 이성이 생각나시나요? 아니면 건강한 삶을 떠올리나요, 모두에게 인정받는 자신을 떠올리나요? 그것도 아니라면 혹시 꿈을 이룬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시나요?
 이렇듯이 우리는 원하는 것, ‘욕구’에 대해 생각하면 많은 것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라는 말이 나온 것도 무리는 아닙니다.
 저명한 심리학자 애이브러햄 매슬로우(Abraham Maslow, 1908~1970)는 이러한 인간의 욕구를 체계화하였습니다. 그것이 그 유명한 ‘​욕구계층이론’이죠. 다음과 같은 사진의 피라미드는 한번쯤 보거나 들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초기 모델은 5단계로 이루어졌었지만, 그의 말년과 사후 그의 제자들에 의해 최종판으로 결정된 것이 위와 같은 모습입니다. 가장 하위에 있는 욕구부터 최상위에 위치하는 욕구까지 총 8단계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제부턴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생리적 욕구: 음식, 의복, 주거 등 삶 그 자체를 유지하기 위한 욕구
2. 안전 욕구: 신체의 위험과 생리적 욕구의 박탈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욕구
3. 소속 및 애정 욕구: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사랑하고 사랑받고 싶은 욕구
4. 존중 욕구: 내적 외적으로 인정을 받으면서 어떤 지위를 확보하기를 원하는 욕구
5. 인지적 욕구: 지식과 기술,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과 이해의 욕구
6. 심미적 욕구: 질서와 안정을 바라며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구
7. 자아실현 욕구: 자기발전을 위하여 잠재력을 극대화, 자기의 완성을 바라는 욕구
8. 자아초월 욕구: 자기자신을 초월하여 다른 무언가를 완성시키고자 하는 이타적인 욕구
 이렇게 8단계로 이루어져있습니다. 1~4단계까지를 결핍 욕구라 불리우고, 5~8단계를 성장 욕구라고 합니다. ​특히 ​7, 8단계의 욕구는 높은 단계의 성장 욕구로써​, 흔히들 “인간은 자아를 실현할 때 가장 큰 행복감을 느낀다“라는 말이 나온 원천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기서 매슬로우가 말하는 ‘결핍’은 결코 나쁜 것이 아닙니다. 욕구는 우리가 무엇이 결핍되어있는지를 무의식적으로 알아차릴 때 생성됩니다. 그 말은 ​우리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기만 한다면, 우리에게 결핍되어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이에 욕구계층이론을 참고하다보면 어느 단계서 문제인지를 보다 쉽게 알게되죠. 문제점을 고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결핍을 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또 하위 단계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상위 단계의 욕구를 채울 수 있느냐, 라고 물으신다면 그것도 옳지는 않습니다. 그런 식의 논리자면 가장 기본적인 욕구인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킨 후에야 자아실현이던 초월이던 할 수 있다는 얘기인데, 우리는 그것에 반하는 많은 사례들을 이미 알고있죠. 여기서 말하는 것은 단지 하위를 충족해야 ​좀 더 수월하게 상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얘기를 하고싶은 것일 겁니다.
 우리는 지금 많은 것들을 충족시켜가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충족시키는 양이 생각보다 많다라는 생각을 요즘 하곤합니다. 비만율이 높아지고 있다거나, 과로사로 쓰러진다거나, 무조건적으로 대학을 간다거나 하는 모습을 보면 그런 생각들이 듭니다.
한 욕구에서 다른 욕구로 넘어가려면, 가장 기본적인 것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만족‘이라는 것이죠. 어떤 것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했는데, 다른 것을 찾는다거나 그 다음 것으로 넘어간다는 것은 어불성설이죠.
 물론 이런 저도 아직 바라는 것이 너무 많기 때문에 포스팅을 하기에는 적절치 않습니다. 그래서 스스로에게 따끔하게 가르치는 마음으로 쓰고, 동시에 반성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묻고 마치겠습니다.
 여러분이 원하시는 것은 무엇인가요?
그것에 만족하시나요?

'매일 심리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대가 무슨 생각하는지 알아내기  (0) 2019.11.06
신체언어와 표정  (0) 2019.11.05
적을 친구로 만드는 기술  (0) 2019.11.01
볼링효과  (0) 2019.10.31
모르는 척하기  (0) 2019.10.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