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와 B, 두 아이가 있다고 합시다. 여러분은 그들의 부모입니다.
둘은 같은 학교에서 정말로 똑같은 성적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원래 A는 공부를 잘하는 아이였고, B는 그보다 좀 못하는 아이였습니다. 때문에 부모인 당신은 잘되길 바라는 마음에 A에겐 채찍을, B에겐 당근을 줍니다. 여기서 질문. A와 B 중 성취도가 높은 아이는 누구일까요? 답을 굳이 알려주지 않아도 여러분은 답을 알 것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짐작하셨다시피, ‘칭찬‘입니다. 볼링 효과는 이 칭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칭찬과 격려는 사람의 힘을 북돋워 감춰진 잠재력을 발휘한다는 내용입니다. 반면 질책과 비판은 사람의 힘을 빠지게 하여 좌절감과 위축감을 느끼게 하죠.
그렇지만 좋은 건 그때뿐이었습니다. 배우는 데 굉장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을 뿐더러, 나중에 그 방법을 복기해 이용하려해도 잘 되질 않았습니다. 혼자서는 다그치는 것 자체가 불가할 뿐더러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하는 그 방법은 비효율적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비판으로 얻어지는 학습을 저는 믿지 못합니다.
사람은 보잘 것 없는 성적이나 결과를 얻어도 다른 사람의 주목을 받게 되면, 그 사람은 자신감을 갖고 더 힘든 일에 도전하려고 한다 합니다. 이것만으로도 우리가 타인을 칭찬해야하는 이유가 되죠.
그렇다면 칭찬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자칫하면 아첨이 될 수도 있는 칭찬. 어떻게 하는건지 알아봅시다.
1. 얼굴은 약간 모자르도록 보이게.
- 모자르게 보임으로써 상대를 치켜올려줍시다.
2. 동의할 수 있는 점을 콕 집어서 칭찬해주기.
- 단순한 칭찬보다는 서로의 감정을 교감할 수 있는 말과 표현이 중요합니다.
칭찬을 들으면 대뇌에서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것이 사람을 능동적으로 만들어준다고 합니다. 하지만 막상 칭찬을 하려면 어렵죠. 이는 우리가 부모님들에게서 칭찬을 받아본 적이 자주 없었기 때문에 배우지 못하여 그렇다고 합니다. 또 부모님들은 그들의 부모님에게서 배우지 못해서 그렇구요. 한국은 그 경향이 특히 심하다고 합니다.
칭찬이 어렵다고 물질적으로 해결하면 되겠지, 라는 생각은 금물입니다. 이는 보상효과와도 연결이 되는데, 단기간에는 훌륭한 방법이지만 장기간으로는 쓸 것이 못돼요.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 뿐더러 상대의 수입이 커질수록 효과는 급강하하게 됩니다.
사람을 사랑하게 만드는 방법은 말을 예쁘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예쁘게 말하는 방법은 사람을 추켜세우면 되는데, 그것이 칭찬입니다.
둘은 같은 학교에서 정말로 똑같은 성적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원래 A는 공부를 잘하는 아이였고, B는 그보다 좀 못하는 아이였습니다. 때문에 부모인 당신은 잘되길 바라는 마음에 A에겐 채찍을, B에겐 당근을 줍니다. 여기서 질문. A와 B 중 성취도가 높은 아이는 누구일까요? 답을 굳이 알려주지 않아도 여러분은 답을 알 것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짐작하셨다시피, ‘칭찬‘입니다. 볼링 효과는 이 칭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칭찬과 격려는 사람의 힘을 북돋워 감춰진 잠재력을 발휘한다는 내용입니다. 반면 질책과 비판은 사람의 힘을 빠지게 하여 좌절감과 위축감을 느끼게 하죠.
그렇지만 좋은 건 그때뿐이었습니다. 배우는 데 굉장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을 뿐더러, 나중에 그 방법을 복기해 이용하려해도 잘 되질 않았습니다. 혼자서는 다그치는 것 자체가 불가할 뿐더러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하는 그 방법은 비효율적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비판으로 얻어지는 학습을 저는 믿지 못합니다.
사람은 보잘 것 없는 성적이나 결과를 얻어도 다른 사람의 주목을 받게 되면, 그 사람은 자신감을 갖고 더 힘든 일에 도전하려고 한다 합니다. 이것만으로도 우리가 타인을 칭찬해야하는 이유가 되죠.
그렇다면 칭찬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자칫하면 아첨이 될 수도 있는 칭찬. 어떻게 하는건지 알아봅시다.
1. 얼굴은 약간 모자르도록 보이게.
- 모자르게 보임으로써 상대를 치켜올려줍시다.
2. 동의할 수 있는 점을 콕 집어서 칭찬해주기.
- 단순한 칭찬보다는 서로의 감정을 교감할 수 있는 말과 표현이 중요합니다.
칭찬을 들으면 대뇌에서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것이 사람을 능동적으로 만들어준다고 합니다. 하지만 막상 칭찬을 하려면 어렵죠. 이는 우리가 부모님들에게서 칭찬을 받아본 적이 자주 없었기 때문에 배우지 못하여 그렇다고 합니다. 또 부모님들은 그들의 부모님에게서 배우지 못해서 그렇구요. 한국은 그 경향이 특히 심하다고 합니다.
칭찬이 어렵다고 물질적으로 해결하면 되겠지, 라는 생각은 금물입니다. 이는 보상효과와도 연결이 되는데, 단기간에는 훌륭한 방법이지만 장기간으로는 쓸 것이 못돼요.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 뿐더러 상대의 수입이 커질수록 효과는 급강하하게 됩니다.
사람을 사랑하게 만드는 방법은 말을 예쁘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예쁘게 말하는 방법은 사람을 추켜세우면 되는데, 그것이 칭찬입니다.
댓글